검색결과 리스트
글
Hardness Test (경도시험)
① 경도 (단단함)란 물질의 단단함, 부드러움의 정도를 가리키는 양으로 물리적 정의는 어렵지만 재료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의 크기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료에 그 물질보다 단단한 다른 물체로 밀어 누르거나 또는 긁을 때에 나타나는 저항으로 측정한다.
② 단단함을 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압입 경도
2) 반발 경도
3) 긁기 경도
WHAT IS HARDNESS?
- 금속핸드북에서는 소성변형에 대한 금속의 저항으로 "hardness"를 정의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단단함, temper(?), 마모 또는 절단, 긁힘에 대한 저항으로도 정의된다. 이것은 부하가 적용되었을 때, 변형 (구부림, 깨짐, 형체의 변화)이 영구적으로 저항하는 능력을 주는 금속의 특성이다. 금속의 경도보다도 더 큰 저항은, 변형을 가지게 한다. 야금경도는 소성 변형 저항에 대한 자재의 능력으로 정의된다. 광물학에서, 공통적으로 묘사되는 특성은 다른 물질에 의해 긁혀짐에 대한 저항이다.
③ Hardness 측정법
HARDNESS MEASUREMENT METHODS
- 금속산업에서 Hardess test에는 세가지 시험방법인 브리넬 테스트, 록크웰 테스트 그리고 비커스 테스트가 있다. 야금 최대 강도와 경도가 다소 비슷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강한 금속이 단단한 금속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금속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시험의 세가지 방식은 변형이 되지 않는 ball 또는 cone의 침투에 대한 금속의 저항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스트는 특정한 시간 내에 주어진 하중 아래에서, 이런 ball or cone이 금속으로 내려앉는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아래는 오늘날의 기술에서 사용되는 가장 공통적인 경도시험방식이다 :
1. Rockwell hardness test
2. Brinell hardness
3. Vickers
4. knoop hardness
5. Shore
Brinell Hardness Test (화공기기 제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Hardness 측정법)
- Brinell Hardness는 자재의 표면에 특정 하중 아래 직경의 단단한 또는 탄화물의 강제적인 힘으로, 남겨진(or 찍혀진) 원형의 직경을을 측정하여 결정된다. Brinell hardness number 또는 Brinell number는 남겨진 (or 찍힌 자국)의 ㎟ 로 실제 표면적에 kilogram으로 사용되는 하중에 의해 얻어진다.
BHN은 아래의 공식에 의해 계산되어진다.
F = the imposed load in kg
D =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indenter in mm
'For 플랜트자료 > 비파괴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투탐상검사 (PT) (0) | 2017.05.15 |
---|---|
자분탐상검사 (MT) (0) | 2017.05.15 |
초음파탐상검사 (UT) (0) | 2017.05.15 |
방사선투과시험(RT) (0) | 2017.05.15 |
IQI (투과도계)란? (1) | 2017.05.12 |
글
1. PREN 이란?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평가하는 여러 지수 중 Pitting 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는 값이 PREN이다. PREN 값이 30 이상이면 해안지역에서 사용가능하며, 특히 PRE 지수가 40 이상인 경우에는 다량의 Mo와 N을 첨가하여 만든 제품으로 원자력발전소, 탈황설비, 해수설비 및 화학 Plant 등 고내식 환경에서 주로 사용 되는 Super Stainless Steel 이 있다.
1) 압력용기가 해양플랜트 및 선박에 설치
2) 고객社 요구사항 중에서 PREN Indicator > 34 (i.e Cr > 22%wt, Mo > 3%wt, N > 0.14%wt)를 요구.
3) 자재성적서는 PREN 값이 34 이상이나, Mo = 3% 임을 확인.
4) %wt는 질량백분율 단위이며, 일반적인 %는 Volume에 대한 백분율이므로 단위가 다르므로 합격처리됨.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프 특성 (0) | 2017.05.13 |
---|---|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F-number (0) | 2017.05.13 |
ASME Material Numbrs 구분 (1) | 2017.05.12 |
글
1. P-number 구분목적
WPS & BPS (Welding / Brazing Procedure Qualification)의 번호를 줄이기 위해, ASME BPVC에 의해 모재 (Base Metal)가 화학적 조성, 용접성, 기계적 특성에 따라 P-numbr로 구분되어 진다.
2. G-number 구분목적
충격시험 (Impact Test) 요건을 가지는 규정된 Ferrous metal은 P-number 안에서 Group number로 구분된다. 즉, P-number 안에서 충격시험을 요구하는 PQ Test를 위해 분류되어진다고 할 수 있다.
3. P-number 구분요쇼
P-number 안에서 비교가 가능한 Group number는 아래의 요소로 구분되어 진다.
① Chemical Composition (화학적 조성)
② Weldability (용접성)
③ Mechanical Properties (기계적 특성)
4. UNS 번호지정과 함께 모재가 P-number로 지정될 때, 동일한 UNS number와 함께 다른 ASME material specification에 나열된 모재 (Base metal)은 P-number로 간주된다.
* P-number로 구분되는 ASME material
P-Numbers |
Base Metal (Typical or Example) |
1 |
Carbon Manganese Steels (four Group Numbers) ==> SA516-60,70..,etc |
2 |
Not Used |
3 |
1/2 Molybdenum or 1/2 Chromium, 1/2 Molybdenum (three Group Numbers) |
4 |
1 1/2 Chromium, 1/2 Molybdenum (two Group Numbers) ==> SA387-Gr11.,etc |
5A |
2 1/2 Chromium, 1 Molybdenum |
5B |
5 Chromium, 1/2 Molybdenum or 9 Chromium, 1 Molybdenum (two Group Numbers) |
5C |
Chromium, Molybdenum, Vanadium (five Group Numbers) |
6 |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Grade 410, 415, 429) (six Group Numbers) |
7 |
Ferritic Stainless Steels (Grade 409, 430) |
8 |
Austenitic Stainless Steels Group 1 - Grades 304, 316, 317, 347 Group 2 - Grades 309, 310 Group 3 - High Manganese Grades Group 4 - High Molybdenum Grades |
9A, B, C |
Two to four Nickel Steels |
10A, B, C, F |
Various low alloy steels |
10H |
Duplex and Super Duplex Stainless Steel (Grades 31803, 32750) |
10I |
High Chromium Stainless Steel |
10J |
High Chromium, Molybdenum Stainless Steel |
10K |
High Chromium, Molybdenum, Nickel Stainless Steel |
11A |
Various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s (six Group Numbers) |
11B |
Various high strength low alloy steels (ten Group Numbers) |
12 to 20 |
Not Used |
21 |
High Aluminum content (1000 and 3000 series) |
22 |
Aluminum (5000 series - 5052, 5454) |
23 |
Aluminum (6000 series – 6061, 6063) |
24 |
Not Used |
25 |
Aluminum (5000 series - 5083, 5086, 5456) |
26 to 30 |
Not used |
31 |
High Copper content |
32 |
Brass |
33 |
Copper Silicone |
34 |
Copper Nickel |
35 |
Copper Aluminum |
36 to 40 |
Not Used |
41 |
High Nickel content |
42 |
Nickel, Copper - (Monel 500) |
43 |
Nickel, Chromium, Iron - (Inconel) |
44 |
Nickel, Molybdenum – (Hastelloy B2, C22, C276, X) |
45 |
Nickel, Chromium |
46 |
Nickel, Chromium, Silicone |
47 |
Nickel, Chromium, Tungsten |
47 to 50 |
Not Used |
51, 52, 53 |
Titanium Alloys |
61, 62 |
Zirconium Alloys |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프 특성 (0) | 2017.05.13 |
---|---|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F-number (0) | 2017.05.13 |
내공식지수 (PREN :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 (0) | 2017.05.12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