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For 플랜트자료에 해당되는 글 49건
- 2017.05.15 방사선투과시험(RT)
- 2017.05.14 금속재료의 변형
- 2017.05.13 예열 (Preheating)
- 2017.05.13 재료의 파괴
- 2017.05.13 크리프 특성
- 2017.05.13 인장시험 (Tensile Strength Test) 1
- 2017.05.13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 2017.05.13 용접결함
- 2017.05.13 배관 SCH 번호
- 2017.05.13 열교환기 Part별 용도
글
1. 방사선 투과시험이란?
방사선투과검사는 병원에서 X-ray 검사로 우리 몸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것과 같은 원리를 가진다. 강이나 기타 재질에 대하여 χ선이나 γ선을 시험체에 투과하여 시험체가 가지는 밀도차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불연속 (결함)을 검출하는 데 적용한다. 시험체의 밀도차에 따른 방사선 양이 RT 필름상에 검고 어둡운 상으로 나타나는 정도를 검사기준에 따라 관찰하는 비파괴검사 방법 중 하나이다.
2. 방사선 투과시험의 장점
1) 거의 모든 재질에 대해 적용이 가능하다.
2) 검사결과는 RT필름으로 영구보존이 가능하다.
3) 결함의 크기 및 종류의 검출이 용이하다.
3. 방사선 투과시험의 단점
1) 방사선 노출에 따른 안전관리의 문제가 발생한다.
2) 미세한 표면결함 및 결함의 깊이를 측정하기 어렵다.
3) 시험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 적용하기 어렵다.
4) 검사비용이 많이 든다.
4. 방사선 투과시험의 특징
1) χ선이나 γ선은 동일종류의 방사선이다.
2) 무게나 질량이 없는 에너지 파형으로 전자기 방사선이다.
3) 육안 또는 감각으로 탐지할 수 없다.
4) 인체에 장해를 줄 수 있으므로 안전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5) 매우 짧은 파장과 매우 높은 주파수를 갖는다.
6) 주어진 방사선 동위원소는 일정한 에너지를 방출하고 이 에너지는 침투능력을 결정한다.
7) γ선의 에너지는 동위원소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고 강도는 퀴리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5. 방사선 촬영장비 및 RT 필름 판독기
'For 플랜트자료 > 비파괴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투탐상검사 (PT) (0) | 2017.05.15 |
---|---|
자분탐상검사 (MT) (0) | 2017.05.15 |
초음파탐상검사 (UT) (0) | 2017.05.15 |
IQI (투과도계)란? (1) | 2017.05.12 |
Hardness Test (경도시험) (0) | 2017.05.12 |
글
1. 금속은 어떻게 변형이 되는가?
만약 금속에서의 전위가 움직일 수 없다면 소성변형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재료가 변형이 되기 위해서는 전위운동이 필수적인 요소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금속에 작은 하중 (또는 응력)을 가하면, 탄성한계를 넘어서지 않는 한도 내에서 하중을 없애면 전위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 현상을 탄성변형이라 한다.
하지만 위의 그림과 같이 금속에 큰 하중을 가하게 되면 (탄성한도를 넘어서는) 소성변형이 생기는데... 이때 한개의 Edge 전위가 Slip 면에서 벗어나 Half Plane (Slip Plane의 절반)을 유지하면서 이웃면으로 미끄러져 나간다. => 소성변형은 이 Slip에 의해 생긴다.
전위의 이동방향은 응력방향과 동일하며, 전위는 Slip 면과 수직인 Slip 방향으로 움직인다.
2. 슬립계 (Slip System)
1) 슬립면 (Slip Plane): Slip이 가장 잘 일어나는 면 (전위가 쉽게 움직이는 면)
2) 슬립방향 (Slip Direction) : 전위의 운동방향
>> FCC 금속의 경우에 슬립면은 4개 및 슬립방향은 3개로 슬립계는 총 12개이다.
3. 금속의 종류에 따른 Slip System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 (0) | 2017.05.16 |
---|---|
재료의 파괴 (0) | 2017.05.13 |
크리프 특성 (0) | 2017.05.13 |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글
1. 예열의 목적
글
1. 파괴
1) 연성파괴 (Ductile Fracture) : 파괴가 될 때까지 소성변형이 크고, 파괴 전에 국부적인 단면 수축이 생기는 위치에서 파단된다.
2) 취성파괴 (Brittle Fracture) : 단면수축이 거의 없이 돌연 파괴되면서 분리된다.
2. 응력-변형률 곡선에서의 비교
3. 연성파괴 & 취성파괴 비교
(a) 연성파괴 : 연성파괴의 특성을 가지는 시편에 인장응력을 가하는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최대 응력값에서 네킹과 국부수축으로 인한 기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기공이 성장하거나 합쳐져서 균열에 형성되는 단계에 이른다. 이 후 균열이 증가하여 인장축 대비 45도 정도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파단된다.
(b) 취성파괴 : 취성파괴에 의해 생기는 파단면은 파단 부근에서 소성변형이 거의 없고 파단면이 인장응력에 작용하는 방향과 수직이다.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계부식(Intergranular corrosion) (0) | 2017.05.16 |
---|---|
금속재료의 변형 (0) | 2017.05.14 |
크리프 특성 (0) | 2017.05.13 |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글
1. 정의
: 재료가 고온환경(절대융점의 약 1/2 이상), 특정온도에서 일정한 응력이 단면적의 변화에 관계없이 계속 일정하게 유지되면, 응력이 항복응력과는 무관하게 일정하게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creep 특성이라고 한다.
=> 즉, 일정한 응력 하에서 재료가 점차적으로 변형하는 현상.
=> 고온에서 재료의 인장성이 변형속도와 시험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원인이다.
2. 시간에 따른 변형률
> 크리프 곡선의 기울기를 크리프 속도라 하며, 일반적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1차 크리프 (=천이 크리프) : 크리프 속도가 감소하는 지역으로 재료의 저항성이 변형에 의해 증가하는 구역
2차 크리프 (=정상상태 크리프) : 가공경화와 회복의 경쟁이 서로 균형을 이뤄 거의 일정한 크리프 속도를 나타내는 구간
(=> 구조물의 근간이 되는 재료의 수명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3차 크리프 (=가속 크리프) : 주로 높은 응려과 높은 온도하에서 일어남.
(=> 국부수축 또는 내부 기공형성 등의 사유로 재료의 단면적의 실질적인 감소가 이뤄진다.)
* 석출물의 조대화,재결정 등 금속학적 변화와 관계 有
3. Creep 변형기구
1) 전위 활주 : 전위들이 슬립 평면을 따라 움직이며 열적활성화에 의해 장애물을 통과
2) 전위 크리프 : 전위들이 열의 도움을 받는 기구에 의해 장애물을 넘어감.
3) 확산 크리프 : 공공과 침입형원자들이 부과응력의 영향하 결정내에서 유동함
4) 결정 입계 미끄럼 : 결정립들이 상대적으로 미끄림
4. Creep 변형억제
1) 결정립 조대화 ▶ Al 규제
- 등강도온도 이상 에서는 결정립이 큰 재료가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고온시 입내파괴 ⇒ 입계파괴
- 등강도 온도 : 결정립과 결정입계간에 강도가 같아지는 온도
2) 석출물(탄화물)의 미세분포 높은 크리프 저항성
3) 합금 원소 첨가 - Mo, Cr 이 유효
5. Creep 도중 조직변화
저온 (Slip에의한 입내변형) ⇒ 고온 (아결정립 형성) ⇒ 더욱 고온(공공전위 증가 , 결정입계 미끄럼)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재료의 변형 (0) | 2017.05.14 |
---|---|
재료의 파괴 (0) | 2017.05.13 |
Stabilized Stainless Steel (안정화 스테인리스강) 이란?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F-number (0) | 2017.05.13 |
글
위의 그래프는 일정한 속도로 시편 양쪽에서 잡아당겨 변형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필요한 하중을 측정하여 하중(Load) - 변형(Deformation)의 곡선이 얻어진다.
=> 탄성영역에서의 응력은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소성영역에서의 진응력 σt (True Stress)를 적용한다.
4. 항복강도 (Yield Strength)
탄성한계를 넘어서 하중을 계속 증가시키면 응력과 변형률의 곡선이 직선에서 벗어나게 되는 점에서의 응력을 말하며, 상항복점에서의 응력 또는 0.2% 의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응력, 즉 0.2% Offset 응력을 항복강도로 규정한다.
5. 공칭변형률
공칭변형률 εn 은 시편의 변화 ΔL (변형 후 시편의 표점거리 L – 초기 표점거리 L0)을 L0로 나눈값으로 정의한다.
εn = ( L - L0 ) / L0 = ΔL / L0
6. 일반적으로 인장시험 그래프는 탄성영역와 소성영역으로 크게 구분된다.
1) 탄성영역 : 하중을 제거시키면 시편의 원래 길이로 회복되는 구간을 말한다. 탄성영역에서 응력과 변형율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되며, 이것을 보통 Hook의 법칙이라 한다.
(후크의 법칙이란? 고체에 힘을가해 변형시키는 경우, 힘의 크기가 어떤 한도를 넘지않는한 변형의 양은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
2) 소성영역 : 재료를 탄성영역 이상으로 인장력을 주게 되면 하중을 제거해도 원래 (최초)의 길이로 회복되지 못하는 구간을 말한다.
7. 네킹 (Necking)
인장응력이 최대가 되는 곳에서 시편 단면이 급격히 작아지는 현상을 네킹 (Necking) 이라 한다. 이때부터 공칭응력은 감소하지만 시편의 단면적이 감소하여 단위면적당의 응력이라 할 수 있는 진응력은 상승한다.
1) 시험목적
재료의 강도에 대한 기초적인 설계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자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시험.
정하는 것으로 시험편 형상에 따라서 강도의 큰차이는 없으나 G.L의 차이는 연신율(EL,%)
에 큰 차이를 나타냄.
③ 시험편
④ 시험평가
- A : 상부 항복점
- B : 하부 항복점
- C : 인장강도 (최대하중을 시험편 초기 단면적으로 나 눈 값 , Pmax / AO )
- D : 탄성영역
- E : 소성영역
- El : e = (L - L0) / L0)
- 연신율 (Elongation)은 인장시험으로부터 파단 후의 시편 변형량을 (%)로 나타낸 것.
- 단면수축률 (Reduction of Area)은 인장시험으로부터 시편파단 후의 단면적 수축량을 (%)로 나타낸 것.
RA (Reduction of Area, %, 단면수축율) : q = ( A0-Af ) / A0
- YR : YP를 TS 값으로 나눈값
'For 플랜트자료 >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K TEST (1) | 2017.05.13 |
---|---|
Huey Test (0) | 2017.05.13 |
CTOD Test (3) | 2017.05.12 |
Positive Material Identification (PMI) (0) | 2017.05.12 |
Ferrite Content (0) | 2017.05.12 |
글
2. 안정화 스테인리스강에 후열처리를 할 경우, 입계부식에 대한 내성이 있기 때문에 PWHT 전/후로 Chemical 성분이나 Ferrite 값에는 큰 변화가 없다.
'For 플랜트자료 > 재 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의 파괴 (0) | 2017.05.13 |
---|---|
크리프 특성 (0) | 2017.05.13 |
EN1024 Type 3.1 & 3.2 의 차이점 (0) | 2017.05.13 |
F-number (0) | 2017.05.13 |
내공식지수 (PREN : Pitting Resistance Equivalent Number) (0) | 2017.05.12 |
글
1. 용접결함이란?
: 용접부에 생긴 외관상 및 성능상으로 불만족으로 보이는 각종 결함을 지칭한다. 루트부가 용입되지 않는 용입부족, 개선면이나 층사이가 용해되지 않는 융합불량, 균열 및 슬래그 등이 있다.
2. 용입불량 (Imcomplete Penetration)
1) 발생원인
- Root Gap이 좁다.
- 용접속도가 너무 빠를때
- 용접전류가 낮을 때
2) 방지대책
- 홈각도를 크게 하거나, Root 간격을 넓힌다.
- 용접속도를 늦춘다.
- 용접전류를 약간 높인다.
3. 언더컷 (Undercut)
1) 발생원인
- 전류가 너무 높을때
- 아크 길이가 너무 길때
- 용접속도가 너무 빠를때
- 부적당한 용접봉 사용 시
2) 방지대책
- 전류를 낮춘다
- 짧은 아크길이로 유지한다.
- 용접속도를 낮추고 운봉을 주의한다.
- 목적에 맞는 용접봉 선정
4. 오버랩 (Overlap)
1) 발생원인
- 전류가 너무 낮을때
- 용접속도가 너무 느릴때
- 운방방법 (용접봉 취급) 불량
2) 방지대책
- 전류를 적정수준으로 맞춘다.
- 용접속도를 약간 높인다.
- 안정된 운봉방법을 택한다.
5. 기공 (Porosity)
1) 발생원인
- 용접봉에 습기가 많을때
- 용접부가 급랭될때
- 이음부에 오일, 페인트 등이 있을 때
- 아크 분위기 속에 수소, 산소, 일산화탄소가 많을때
2) 방지대책
- 잘 건조된 용접봉을 사용한다.
- 후열로 냉각속도를 늦춘다.
- 이음부 청소를 잘한다.
- 저수소계 용접봉을 사용한다.
6. 융합불량 (Incomplete of fusion)
1) 발생원인
- 용접속도가 너무 빠르다
- 용접전류가 낮을 때
2) 방지대책
- 용접속도를 늦춘다.
- 용접전류를 약간 높인다.
7. 슬래그 혼입 (Slag Inclusion)
1) 발생원인
- 슬래그 제거가 불완전했을 때
- 전류가 낮거나 운봉속도가 너무 느릴때
- 용접봉의 각도 부정확할 때
- 슬래그가 용융지보다 앞설때
2) 방지대책
- 슬래그 및 불순물 제거 확실하게 한다.
- 전류를 약간 높인다.
- 용접봉의 유지각도를 낮춘다.
- 아크의 힘에 의해 뒤로 밀리거나 진행방향쪽이 낮아서 슬래그가 앞서는 경우 모재의 각도를 조절한다.
8. 그 외의 용접결함들
1) Cluster Porosity : 용접부위에 기름이나 구리스 등의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태에서 용접을 진행할 경우에 발생한다.
2) Internal concavity or suck back : 초층이 이후 층의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응고 수축에 의해 빨려 들어간 현상이다.
3) Offset Mimatch : 용접 전, 취부상태가 불량할 경우에 Root Joint 부위의 Mis-alignment에 의해 발생된다.
4) Excess Weld Reinforcement : 용접이 과다할 때 발생한다.
5) Crack : 용접부에 갈라짐 현상이 발생하는 용접결함이다.
6) Burn Through : 입열이 높거나 국부적인 과열에 의해 녹아서 흘러내린 현상이다.
'For 플랜트자료 > 용 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W (Shield Metal Arc Welding) (0) | 2017.05.15 |
---|---|
차폐가스 (Shielding Gas) (0) | 2017.05.15 |
Flux의 용도 및 역할 (0) | 2017.05.13 |
Seal Welding & Strength Welding (0) | 2017.05.13 |
용접재료 (0) | 2017.05.13 |
글
배관의 크기는 내경(ID:Inside Diameter)과 외경(OD:Outside Diameter)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내경은 유체가 이동하는 단면적이다. 이것은 유량과 직결되는 요소이다. 유속이 일정한 경우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유량도 증가한다. 외경은 배관의 두께를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내경은 일정하지만 두께에 따라 외경은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께는 어떤 요소로 인해 달라지는 것일까
2. 두께를 결정짓는 요소
배관의 두께는 사용재질, 사용압력 및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같은 재질을 사용한 배관의 경우, 사용압력 및 온도가 증가할 경우 배관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사용압력 및 온도가 다양하지 않은 경우에는 한 가지 두께의 배관의 사용이 편리하다.
NPS규격은 배관의 외경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인치(Inch)단위를 사용하며 국내에서는 '공칭경'이란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NPS 4'라고 하면 '외경의 크기가 약 4인치인 배관'을 말하는 것이다.
NPS규격은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기 위해 스케줄 번호를 이용한다. 산업적으로 사용하기 편리한 두께를 각 배관 사이즈마다 정해놓고 각 두께를 숫자를 이용해서 나타낸다.
5, 10, 20, 30, 40, 60, 80, 100, 120, 140, 160
Schedule(SCH)은 운전압력(P)을 배관재질의 최대허용응력(S) 값으로 나눈 값에 1000을 곱한 것으로써 압력과 최대허용응력의 단위는 psi(pounds per square inch)를 사용한 것이다. 스케줄 번호가 클수록 더 두꺼운 두께를 의미한다.
5. Letter 'S'
5S, 10S, 20S 하는 식으로 스케줄 번호뒤에 S가 붙어 있는 것들이 있다. 이것은 스테인리스강의 스케줄을 나타내는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은 탄소강보다 연성이 좋아서 보다 얇은 두께로 같은 압력을 견딜수 있다. 따라서 두께를 표현함에 있어서 구별을 하기 위해서 S를 붙인다.
IPS규격에서 배관의 두께를 나타내는 STD, XS, XXS 등의 표현은 NPS규격에 상응하는 두께에 함께 표현된다. NPS10 이하의 배관은 SCH40이 STD두께이고 NPS8이하의 배관에서 SCH80은 XS두께이다. 자세한 치수는 ASME B36.19와 B36.10을 참고하기 바란다.
'For 플랜트자료 > 일 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교환기 Part별 용도 (0) | 2017.05.13 |
---|---|
Pressure Retaining & Pressure Containing Part의 차이 (0) | 2017.05.13 |
Telltale hole 이란? (0) | 2017.05.13 |
Weep hole & Dowel Pin 등의 용도 (0) | 2017.05.13 |
Vent & Drain (0) | 2017.05.13 |
글
- 관측유체를 유입, 방출 및 방향전환을 할 수 있는 공간 부여
2. Channel Flange (Stationary head Flange)
- Channel 과 Channel Cover, Channel 과 Shell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 시키는 공정점
3. Tube Sheet (Stationary Tube Sheet)
- 관측과 통측의 각각 유체를 격리시키며 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열 고정시킴.
4. Tube
- 관측과 통측 유체의 전열을 위한 전열면 제공
5. Shell
- 열교환기 내·외부의 경계면으로서 내·외부의 온도, 압력, 하중 등을 유지 시켜줌.
6. Floating Tube Sheet
- Floating Cover 쪽에 위치하며 일정간격으로 Tube 를 배열 지지하고, Tube 와 Shell 간을 밀폐시킨다.
7. Floating Head Cover
- Channel 반대쪽에 위치하여 Tube side 의 유체가 방향전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
8. Baffle
- Shell side 유체 흐름을 방해 유도하여 전열효과를 크게 하고 Tube 처짐을 방지함.
9. Pass Partition (Partition Plate)
- Tube side 유체흐름을 유도하여 방향전환하도록 함.
'For 플랜트자료 > 일 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관 SCH 번호 (0) | 2017.05.13 |
---|---|
Pressure Retaining & Pressure Containing Part의 차이 (0) | 2017.05.13 |
Telltale hole 이란? (0) | 2017.05.13 |
Weep hole & Dowel Pin 등의 용도 (0) | 2017.05.13 |
Vent & Drain (0) | 2017.05.13 |
RECENT COMMENT